건강정보

정력을 떨어뜨리는 음식 10가지

꿈꾸는체리 2023. 4. 19. 12:22

여성과 남성은 중년이 되면 몸의 노화가 이루어지는 걸 느끼며 우울감마저 들게 됩니다. 특히 50이 넘은 남성들의 정력 또한  점점 떨어져 자신감을 잃게 되죠. 오늘은 중년 남성들의 정력을 떨어뜨리는 음식 10가지를 소개해봅니다.

 

 

 

정력을 떨어뜨리는 음식 10가지

남성이 운동하고 있는 모습


 

1. 고농축 대두 추출물

우리가 먹는 간장이 정력을 저하시킨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간장을 만드는 주원료는 대두의 이소플라본 대사산물인 '에쿠올'입니다. 이 성분은 남성 호르몬의 일부인 DHT와 정자생성에 방해가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찬 정도로 먹는 간장과 두부 정도는 상관없겠지만 고농축 대두 추출물, 콩고기 등을 장기 섭취할 시에는 정력을 서서히 떨어뜨리게 합니다.

 

 

2. 쌀밥, 밀가루, 빵 등 정제된 탄수화물

정제된 탄수화물은 트립토판 분비를 증가시키며, 탄수화물은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을 생성해 불안증, 불면증, 우울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게 되면 성욕을 감퇴시키게 됩니다.

 

 

고사리 나물 반찬

 

 

3. 고사리 

옛 문헌에 따르면 '고사리는 다리에 힘을 빼 보행에 지장을 주고, 양기를 저하시켜 음경을 수축시킨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실제 생고사리의 티아미나이제 성분은 티아민(비타민B1)을 분해시킵니다. 티아민이 부족하게 되면 사지근육이 약화되고, 말초신경이 약화되며, 심혈관 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기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율무

정력 저하 식품으로 소문이 난 율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라고 해요. 율무는 성질이 서늘하며 체내 습열을 배출시키는데 훌륭한 효능을 지닌 식품입니다. 그런데 울무의 성질이 서늘하다 보니 양기를 내려줍니다. 따라서 몸이 찬 사람들에게는 정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열성체질인 사람에게는 오히려 지나친 체열을 조절해서 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숙주나물

숙주나물도 성질이 찬 식품이다 보니 양기를 내려 몸이 찬 사람들에겐 정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열성체질인 사람에게는 오히려 지나친 체열을 조절해 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6. 가공식품 또는 패스트푸드

하버드대 연구팀 발표에 의하면 가공육을 매일 섭취하면 정자 수와 정자질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또한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는 포화지방 증가, 콜레스테롤 증가, 동맥경화 유발, 비만 등을 유발해, 음경 해면체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발기부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브로콜리

 

 

7.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원래 정력을 증강시키는 좋은 식품입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브로콜리를 과다 섭취하게 되면 특유의 체취가 발생하고, 이 체취를 상대방이 맡게 되면 상대방의 성욕이 감퇴된다고 합니다.

 

 

8. 음주

알코올은 교감신경을 마비시키고, 남성호르몬 생성에 방해가 되며, '성미네랄'이라 불리는 아연 흡수를 방해합니다. 또한 알코올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정자 생성에 방해를 받습니다.

 

 

 

 

9. 커피

사랑을 나눌 시 1시간 전에는 절대 커피를 마시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커피의 카페인으로 인해 심박수가 올라가 긴장감이 높아집니다. 또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성욕이 줄어듭니다.

 

 

10. 설탕

정제 설탕은 렙틴 수치를 높여 남성 호르몬 분비를 저하시키고, 정자 결핍증 등을 유발합니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 악화, 면역력 저하, 피로,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므로 발기부전의 원인이 됩니다.


남자가 손을 활짝 벌리고 있는 모습

 

 

오늘은 정력을 떨어뜨리는 음식 10가지를 알아봤는데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먹는 음식 재료들 중에 해당이 되는 것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많이 복용했을 때 문제가 되는 것이지 소량 복용한다고 해서 정력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반응형